한 나라의 경제활동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하는 수치를 ‘경제활동지표’라 하며, 국내총생산, 국민 총생산, 국제 수지, 경제성장률, 실업률 등이 이에 속합니다. 이러한 경제 지표는 정부가 경제정책을 수립하거나 기업이 투자계획을 세울 때 중요한 자료로 활용됩니다. (출처 : KDI)
1. 국내총생산(GDP, Gross Domestic Product)
GDP란 일정 기간(보통 1년) 동안 한 나라 안에서 생산된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시장 가치를 화폐 단위로 환산하여 더한 값이다. GDP의 개념은 ‘어느 나라 국적을 가진 사람들이 생산활동에 참여했느냐’에 상관없이 그 나라 안에서 만들어낸 모든 것을 계산한다. 국내에 진출한 다국적 기업의 생산활동은 우리나라 GDP에 계산된다. 반면, 삼성이 중국 공장에서 생산한 것은 우리나라 GDP에 계산되지 않고 중국의 GDP에 계산된다. 외국 모델이 국내에서 활동하는 경우 이는 우리나라 GDP에 계산되지만, 박찬호의 메이저리그 활동은 미국 GDP에 계산된다. 이처럼 GDP는 국적이 아니라 영토가 기준이 된다.
한 국가 내의 모든 경제주체가 1년 동안 생산한 최종재의 시장가치를 모두 더한 것임
경제주체의 국적에 상관없이
그 나라 안에서 생산된 재화와 서비스의 시장 가치를 합산한 것
GDP는 물가 상승분의 고려 여부에 따라 명목 GDP와 실질 GDP로 나뉜다.
1-1. 명목GDP
명목GDP액을 당해년도 시장가격으로 평가한 것으로, 물가 상승분 반영이 된 것이다.
당해 연도 생산량 * 당해 연도 시장가격을 곱하여 산출
1-2. 실질GDP
실질 GDP는 생산량에 기준년도 시장가격을 곱하여 계산이 되어 가격 변동은 제거되고 생산량 변동만을 반영하게 된다. 물가 상승분을 고려하지 않고 계산한다.
당해 연도 생산량 * 기준 연도 가격을 곱하여 산출.
국민경제의 전체적인 규모를 파악하거나 구조 변동을 분석하기에는 명목 GDP가,
경제성장이나 경기 변동과 같은 국민경제의 실질적 생산활동을 파악하는 데에는 실질 GDP가 적합하다.
한국의 실질 GDP 규모는 2021년 현재 약 1,916조 원에 달한다. 이를 1인당 금액으로 계산하면 약 3,702만 원에 해당한다. 통상 가계소득으로 유추되는 1인당 소득에 비해 1인당 GDP가 훨씬 더 높은 이유는 가계소득에는 GDP에 들어 있는 감가상각, 법인세와 간접세, 기업이윤 등이 포함되지 않기 때문이다.
2. 국민총소득(GNI, Gross National Income)
대표적인 경제성장 지표가 국내총생산(GDP)라면 국민소득을 보다 정확하게 반영하기 위해 나온 경제지표가 국민총소득(Gross National Income : GNI)이다.
국민총소득(GNI)은 한나라의 국민이 국내 외 생산 활동에 참가한 대가로 받은 소득의 합계로서 이 지표에는 자국민(거주자)이 국외로부터 받은 소득(국외수취요소소득/해외에서 벌어들인 우리 국민의 소득)은 포함되는 반면 국내총생산 중에서 외국인(비거주자)에게 지급한 소득(국외지급요소소득/외국인이 한국에서 벌어들인 소득)은 제외된다.
국민총소득(GNI)은 한나라의 국민이
국내 외 생산 활동에 참가한 대가로 받은 소득의 합계
3. 1인당 국민총소득(GNI Per Capita / PCI· Per Capita Income)
국민총소득(GNI)은 한 나라의 경제규모를 파악하는데 유용하나, 국민들의 평균적인 생활수준을 알아보는 데는 적합하지 못하다. 왜냐하면 국민들의 생활수준은 전체 국민소득의 크기보다는 1인당 국민소득의 크기와 더욱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민들의 생활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1인당 GNI이다.
4. 국민총생산(GNP, Gross National Product)
국민총생산(GNP)은 ‘어느 나라에서 생산했느냐에 관계없이 ’일정 기간(보통 1년) 동안‘ 한 나라 국민들’이 국내·외에서 생산한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시장가치를 합산한 것이다. 국제 교류가 그리 활발하지 않았던 과거에는 GNP와 GDP 간의 차이가 크지 않았다. 그러나 세계 경제의 국제화가 급격히 진전되고 노동이나 자본의 국가 간 이동이 확대됨에 따라 GNP보다는 GDP가 그 나라의 경기 및 고용 사정을 더 잘 반영하게 되었다. GNP는 국적 개념의 지표로서 한 나라 국민이 생산을 통해 벌어들인 소득을 나타내는 지표다. 중동 건설 현장에 파견된 우리나라 노동자들의 생산활동은 국내총생산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국민총생산에는 포함된다. 따라서 한 나라 국민이 벌어들인 소득을 나타낼 경우 GDP보다 GNP가 더 적합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국민총생산(GNP)은 지표에서 사라지고 없으며 국민총소득(GNI)이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다.
5. 구매력 평가설(PPP·Purchasing Power Parit)
구매력은 보통 화폐의 구매력을 말합니다. 즉, 화폐 1단위로 구매할 수 있는 재화 및 용역의 수량을 의미합니다.
구매력평가설은 장기에 국가 간 환율이 각국 구매력에 의해 결정된다는 이론으로, 절대적 구매력평가설과 상대적 구매력평가설로 나뉩니다. 절대적 구매력평가설이 환율이 각국의 물가 수준을 반영해야 한다는 이론인 반면 상대적 구매력평가설은 환율이 국가 간 물가 상승률의 차이를 반영해야 한다는 이론을 말합니다.
서비스 부문의 임금이 비싼 나라들이 시장 환율로 계산한 것보다 구매력 평가 소득이 낮아지는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비교역재가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비교역재란 국가 간 이동이 용이하지 않은 상품으로, 주로 서비스가 이에 해당합니다.
A, B 두 나라 간의 환율이 1달러 당 100엔이고, B국의 서비스 상품 요금이 높다고 알려진 상황에서, 서비스 상품 중 하나인 이발하는 데 드는 비용이 A국은 1달러, B국은 200엔이라고 가정해 봅시다.
B국의 이발요금(국민소득)을 달러로 환산하면, 1달러에 100엔이므로 2달러가 됩니다. 이렇듯 구매력평가에 의한 비교역재의 환율(1달러=200엔)이 시장평균 환율(1달러=100엔)보다 높다면, 물가가 높은 나라의 국민소득은 과대 계산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결국, B국처럼 서비스부문의 임금이 비싼 나라들은 구매력이 과대평가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실제 구매력은 낮아, 시장 환율로 계산한 것보다 구매력 평가 소득이 낮아집니다.
구매력 평가 이론이 환율에 관해 대체적인 수준을 제시할 수는 있지만 환율을 완전하게 설명하지 못하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경제학자들은 구매력 평가 이론의 호소력 있는 논리에도 불구하고 현실 세계를 완벽하게 설명할 수 없다고 보고 있습니다. (ssoojp@kdi.re.kr)
구매력 기준 1인당 국민소득은 전세계의 물가와 환율이 동등하다고 가정할 때,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능력으로 명목소득을 환산하며 그 나라 국민의 실질적인 삶의 수준을 보여주는 수치로 쓰입니다. 실제로 영국 경제전문지 이코노미스트가 매년 세계 주요 도시의 물가 수준을 비교하기 위해 미국 맥도널드의 '빅맥' 햄버거 가격을 기준 삼아 '빅맥지수'를 발표하여 가 각국의 생활수준을 가늠하기도 한다.
주요 국가의 물가 수준을 알고 싶으면 "빅맥지수", "아이팟지수", "애니콜지수" 등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Orginal : KDI 경제정보센터, KOSIS
'🌈경제Econom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tGPT / Native / 대한민국의 IMF 구제금융 요청 (0) | 2023.03.09 |
---|---|
미국 소지자물가지수(CPI) 전년대비 6.4%, 전월대비 0.5%로 증가 (1) | 2023.02.15 |
국제수지 / 경상수지 / 무역수지 / 한국은행 11월 국제수지 잠정 발표 / 국제수지 구성 (0) | 2023.01.31 |
우리가 아는 인플레이션에 대하여... (0) | 2022.11.24 |
아르헨티나 역사상 10번째 국가 부도 예상 / 아르헨티나 디폴트 / 천국 아르헨티아에 무슨 일?? / 아르헨티나 부도 (1) | 2022.10.18 |
댓글